카테고리 없음

신장이식, 대기 기간 7년?

비전(vision) 2025. 3. 25. 14:33

"투석 중인데 신장이식 가능할까?"
콩팥 기능이 20% 이하로 떨어진다면 뇌사자 신장이식을 고려해볼 때입니다.
오늘은 대한신장학회와 서울대병원 강은정 교수의 설명을 바탕으로 뇌사자 신장이식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!


🔍 뇌사자 신장이식이란?

  • 뇌사 상태의 기증자로부터 신장을 이식받는 수술
    • 뇌사 = 뇌 기능 정지 but 심장은 작동 (인공호흡기 유지)
  • 생체이식 vs 뇌사자이식
    • 생체: 가족 기증, 대기 기간 짧음
    • 뇌사자: 대기 기간 6~7년 but 면역억제제 부담 ↓

📋 이식 등록 절차 5단계

  1. 등록 자격 확인
    • 투석 시작 후만 가능 (예비 등록 불가)
    • 만 18세 이상, 심각한 감염/암 없어야 함
  2. 필수 검사
    • HLA 검사 (조직 적합성)
    • 항체 검사 (면역 반응 확인)
    • 혈액형, HIV/간염 검사
  3. 코디네이터 상담
    •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(KONOS)에 등록
  4. 대기 기간 관리
    • 2년마다 검사 갱신 필수! (미실시 시 대기 리스트 제외)
  5. 이식 권역 선택
    • 1권역(서울/인천): 대기 기간 ↑ but 이식 빈도 ↑
    • 3권역(부산/대구): 비교적 대기 기간 ↓


⏳ 대기 기간 & 혈액형별 차이

  • 평균 6.3년 (2023년 기준)
    • O형: 7년 ↑ (기증자 대비 수요 많음)
    • A/B/AB형: 5~6년
  • 빠른 이식 팁
    • 뇌사자 발굴 많은 대학병원 등록
    • 가족 중 기증자 있으면 가산점

⚠️ 절대 주의사항 3가지

  1. 수혈 금지
    • 항체 생성으로 이식 기회 날릴 수 있음
    • 필요 시 "백혈구 제거 혈액" 요청
  2. 감염 관리
    • 면역억제제 복용 전 잠복 감염 검사 필수
  3. 급한 운동/체중 변화
    • BMI 35↑ 이식 제한 가능


💡 이식 성공률 높이는 법

  • 수술 전: 철저한 감염 검사 + 영양 관리
  • 수술 후: 면역억제제 복용 100% 준수
  • 1년 생존율 95%, 5년 생존율 80%